EIN 이란? (Employer Id Number 뜻, 신청 및 번호 확인)

미국에서 비즈니스를 하려면 EIN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EIN은 고용주에게 부여되는 납세자 식별 번호로 직원을 고용하려면 반드시 필요한데요. 이번 글에서는 EIN(Employer ID Number) 뜻과 신청 및 번호 확인 방법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1. EIN 이란? (1) EIN 뜻 EIN은 영어로 Employer Identification Number입니다. 한국어로 뜻을 풀이하자면 고용주 식별 번호라고 할 수 있는데요. IRS에서 비즈니스는에 부여한 일종의 Tax … 더 읽기

PTIN 총정리 (온라인 신청, 갱신 방법, 패널티 등)

미국에서 세무 비즈니스를 하려면 PTIN이 있어야 합니다. PTIN은 IRS 사이트에서 온라인으로 신청 및 갱신을 할 수 있는데요. 유효한 PTIN 없이 세무 대리 행위를 하는 경우 패널티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PTIN에 대해 총정리하였습니다. 1. PTIN 이란? (1) PTIN 뜻 PTIN이란 영어로 Preparer Tax Identification Number의 약자입니다. 피틴 또는 피티아이엔이라고 발음하는데요. 우리말로 풀이하면 미국 납세자 대리인 … 더 읽기

Self Employment tax 총정리 (계산 및 납부 방법)

미국에서 자영업이나 부업 등으로 소득이 생기면 Self Employment tax를 체크해봐야 합니다. 특히 스몰 비즈니스를 처음 시작하는 경우 자칫 내야할 세금을 놓치는 경우가 있죠. 이번 글에서는 Self Employment tax 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세율과 계산법 그리고 납부 방법에 대해서 총정리해봤습니다. 1. Self Employment tax란? Self Employment tax는 한국말로 번역하면 자영업자 세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영업자에는 소규모 비즈니스 … 더 읽기

Estimated Tax(예납세) 총정리 (납부 대상, 패널티, 면제 등)

직장인이나 근로자는 고용주가 급여에서 세금을 원천징수하죠. 이와 달리 자영업자, 프리랜서, 컨트렉터 소득은 따로 원천징수되지 않기 때문에 예납세(Estimated Tax)를 내야 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Estimated Tax에 대해서 누가 내야하는지, 언제 어떻게 납부해야 하는지, 패널티와 면제 조건은 무엇인지 등을 총정리하였습니다. 1. Estimated Tax란? (1) Estimated Tax 뜻 미국에서 급여(paycheck)를 받으면 고용주가 세금을 원천징수하죠. 하지만 비즈니스를 하거나 원천징수되지 않는 … 더 읽기

미국 자영업자 세금 총정리 (보고, 기한, 계산 방법 등)

회사에서 일하는 근로자는 고용주가 대부분 세금을 원천징수하기 때문에 매년 세금보고만 잘 챙기면 됩니다. 반면, 자영업을 하는 스몰 비즈니스 오너나 프리랜서, 독립 컨트렉터 분들은 따로 원천징수를 하는 주체가 없기 때문에 본인이 알아서 세금을 내야 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자영업자라면 놓쳐서는 안되는 미국 자영업자 세금 총정리를 해보았습니다. 1. 미국 자영업자 세금 종류 미국에서 소득이 생기면 기본적으로 연방 정부 … 더 읽기

미국 세금보고 기간 총정리 (마감일 및 연장 신청 등 포함)

미국에서는 매년 소득에 대해 세금보고를 해야 합니다. 간혹 바쁘게 살다보면 세금보고 기간을 잊고 지나치는 경우가 있는데요. 내지 않아도 될 벌금을 물수도 있기 때문에 세금보고 기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 세금보고 기간 마감일과 연장 신청 등을 포함하여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1. 미국 세금보고 기간 마감일 (1) 미국 거주자 미국 세금보고 의무가 있는 미국 거주자의 경우 … 더 읽기

미국 세금보고 누락 (안하면, 늦으면) 시 벌금 및 조치 방법

미국에서 세금보고를 누락하거나 세금을 내지 않으면 벌금과 이자 등의 패널티를 받게 됩니다. 미국 세금보고 의무가 있음에도 세금보고를 안하거나 늦게하면 어떤 패널티를 받게 될까요? 이번 글에서는 미국 세금보고 누락 시 벌금과 조치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1. 미국 세금보고 누락 체크 먼저 본인에게 미국 세금보고 의무가 있는지 체크해봐야 합니다. 세금보고 하지 않았어도 보고할 의무가 없으면 상관없기 때문이죠. … 더 읽기

미국 직장 이직 시 401k 처리 방법 (401k 롤오버, 인출 등)

미국에서 직장을 다니면 401k에 은퇴 자금을 저축합니다. 그러다 이직하면 1) 이전 직장 401k를 그냥 두거나 2) 새 직장 401k 플랜 3) Traditional IRA 4) Roth IRA로 롤오버 또는 5) 일반 계좌로 인출(Withdrawal)할 수도 있는데요. 각각 401k 처리 방법 및 장단점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이전 직장 401k 그냥 두기 첫 번째 401k 처리 방법으로 이전 직장 … 더 읽기

미국 세금보고 의무 정리 (나도 세금 보고 해야하나?)

누가 미국 세금 보고를 해야할까요? 미국 세금보고를 해야하는지 따져보려면 세법상 거주자 여부와 소득의 종류와 금액 등을 알아야 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미국 세금보고 의무“와 관련하여 각 기준과 불이행 시 벌금 등에 대해 총정리해봤습니다. 1. 거주자 여부에 따른 미국 세금보고 의무 미국 세금보고 의무가 있는지 알아보려면 먼저 미국 세법상 거주자인지 따져봐야 합니다. 미국 세법상 거주자란 미국 시민권자와 … 더 읽기

Traditional vs Roth 401k 어떤 것이 더 좋을까? (장단점 비교)

이번 글에서는 많은 분들이 고민하는 Traditional 401k와 Roth 401k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해볼까 합니다. 특히 미국 커뮤니티 게시판에서 Traditional vs Roth 401k 어떤 것이 좋나요? 라는 질문들이 많은데요. 각각 401k에 대한 장단점과 어떤 선택을 해야할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401k 종류 401k는 대표적인 미국 은퇴 계좌입니다. 그리고 401k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요. (아래 글 참고) 여러가지 401k  … 더 읽기